안녕하세요 항상 실생활에 유용한 IT정보를 제공하는 소크몽입니다.

오늘은 가정 또는 소규모 사무실에서 많이 사용하는 iptime 공유기의 

접속기기별 인터넷 차단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정에서 특히 아이들 잠 안 자고 인터넷 게임 때문에 일일이 잔소리하시느라 힘드시죠

이 기능을 세팅해  놓으세요. 자동으로 인터넷이 차단되니, 자동으로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을 

안 하게 됩니다.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 볼까요

공유기의 관리자 모드로 들어가 줍니다.

"보안 기능 > 인터넷/ WiFi 사용 제한"을 클릭해 줍니다.

위 이미지를 참고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위 리스트에서 플래이 표시는 현재 인터넷이 차단 된 상태이고 일시정지 표시는 인터넷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그럼 새규칙을 추가해 보겠습니다.

제일 하단 오른쪽에 새 규칙을 클릭합니다.

왼쪽 상단 "인터넷사용제한" 옆에 차단하고자 하는 장비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규칙 비활성화"는  체크를 해제합니다.

옆 순위는 그냥 두시면 됩니다.

2번째 줄은 "내부->외부" 그리고 "외부목적지 ALL"로 설정합니다.

3번째 줄 차단 방법을 설정합니다. 차단방법은 크게 IP차단 방식과 MAC주소 차단 방식이 있습니다.

IP차단 : 각 장비마다 고유의 IP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고정 IP상태)

MAC주소차단: 각장비의 네트워크 카드의 고유 주소를 차단합니다.(유동 IP 상태의 경우 사용하며, 맥주소는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습니다.)

고정 IP 와 유동 IP의 차이

고정IP : 각컴퓨터의 IP주소를 고정으로 입력하여 컴퓨터를 전원을 꺼다가 켜도 IP주소가 변하지 않는 상태

유동 IP : 각 컴퓨터의 IP주소를 유동적으로 전원을 꺼다가 켜면 IP주소가 변경될 수 있다.

가정용 공유기의 경우 대부분 유동 IP를 사용하고 있어 MAC주소 차단을 선택합니다.

3번째 줄에 해당 컴퓨터 및 장비에 MAC주소를 확인 후 16진수로 표시된 MAC 주소를 입력합니다.

모든 IP차단으로 설정합니다.

4번째 줄에 "허용, 차단" 중에 차단으로 설정 후에 차단할 요일과 차단할 시간을 설정합니다.

만일 전날 오후 11시부터 다음날 오전 8시까지 차단하고자 하신다면 23:00 ~ 08:00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저장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