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Power on Self Test)
Power on Self Test 줄여서 POST 라 한다 컴퓨터에 전원이 들어가면 소프트웨어 즉 운영체제를 로딩하기 전에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들이 전상인지를 확인하기 자체 테스를 진행하게 된다 이과정을 포스트라 한다
컴퓨터에 전원을 켜지는 순간 다음과정을 수행하면서 하드웨어를 점검한다
1. CPU 테스트 : 전원 on과 동시에 중앙처리장치인 CPU는 자기 자신을 점검한다.
이 과정에서 CPU에 문제가 있는 경우 다음 테스트로 진행이 안되며 전원만 들어온 상태에서 아무런 반응이 없다
2.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Rom : CPU테스트를 통과하면 는 바이오스에 신호를 보내어 각 입출력 장치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과정에서도 BiosRom에 문제가 있는 경우 CPU와 같은 증상을 보인다
3. 메인보드 영역 검사 : 각 슬롯 및 시스템 타이머를 검사하게 된다. 세부적인 부분은 따로 메인보드에 문제가 있는 경우
문제 되는 영역에 따라 비프음을 내보내게 된다
4. 메모리와 그래픽카드 검사 : 메인보드에 문제가 없는 경우 메모리와 그래픽 카드 검사를 수행하며, 모두 문제가 없다면
비로소 컴퓨터 화면에 글자가 표시된다.
여기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고장 메모리카드 접촉 불량이 있다 CPU바이오스 불량과 같이 전원만 들어온 상태에서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다
조치방법은 메모리카드를 빼다가 다시 장착하는 것이다 화면무감 증상의 70% 정도를 차지하는 증상이니 잘 알아 두자
5. 이제 하드드라이브에서 운영체제를 로딩하게 된다
소프트웨어는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어 보겠다
컴퓨터의 대표적인 고장증상
1. 전원무감 : 파워에 문제가 있거나 파워와 연결되어 있는 전원코드가 빠진 경우도 있다. 아주 드물게 메인보드 불량으로 인한 전원 무감도 발생한다
2. 화면무감 : 앞서 설명드렸지만 본체에 전원은 들어오지만 모니터에 아무런 화면이 안 나오는 증상이다.
이 증상의 70~80%는 메모리카드와 비디오카드의 접촉 불량으로 발생한다
CPU의 불량률은 거의 0%에 가깝다 메인보드도 거의 불량이 없는 편이다.
제일 먼저 메모리카드를 재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화면 무감 증상이 해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3. 사용 중에 전원이 꺼지는 경우 :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였거나 CPU기본 쿨러를 사용하는 경우 CPU과열로 인한 셧다운 증상이다 CPU는 자체적으로 회로 보호를 위해 과열 시 전원을 차단한다.
이상으로 간단히 컴퓨터의 고장 증상과 POST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컴퓨터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스마트폰 MAC 주소 확인 방법 (0) | 2023.01.02 |
---|---|
아이피타임 공유기 접속 기기별 인터넷 차단설정 (0) | 2023.01.02 |